본문 바로가기

토목구조기술사

(17)
철근콘크리트보의 균형철근비 및 최대철근비 산정(2003년, 20012년, 2021년 비교) ◆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2003년) ◎ 균형철근비 ρb 유도(εt = εy = fy/Es)c  /  εcu= ( d - c )   /  εyc에 대해 정리하면c = εcu · d  /   ( εy + εcu )    …①C(압축력) = T(인장력) 이므로,As · fy = 0.85 · β1 · fck · b · c  …②②식에 ①을 대입하여 정리하면As / bd = 0.85 · β1 · fck / fy · εcu /  ( εy + εcu ) εcu = 0.003, εcu /  ( εy + εcu ) 에 Es를 곱하여 정리하면 ρb = 0.85 · β1 · fck / fy · 600 /  ( fy + 600 )   ◎  최대철근비 ρmax = 0.75 ρbρmax = 0.75 · 0.85 · β1 · f..
해법중심 구조역학 예제 10.1 오답 해법중심 구조역학 책의 예제 10.1 입니다. 왼쪽 지점의 재단모멘트를 잘못 산정한거 같습니다.처짐각법이 아니라 에너지법으로 풀긴 했지만 위와 같이 나옵니다.
정정보의 처짐각, 처짐 공식 정정보의 형식에 따른 처짐각 및 처짐
도형별 단면의 성질(단면2차모멘트, 단면계수, 회전반경)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원형 등의 단면 성질
토목구조기술사 95회 3교시 4번(95-3-4) - 보-트러스 혼성 구조물의 처짐 및 부재력 구하기, 에너지법 매트릭스법으로 푸는게 간단한거 같지만, 에너지법으로도 해도 2구간만 계산하면 되기에 풀어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오답이 나와서 검토해보니, 지점의 반력 구할 때 실수를 했습니다.
토목구조기술사 94회 3교시 5번(94-3-5) - 부정정보의 영향선 구하기 정성적으로 영향선이 어떻게 나오겠구나라고 추측을 하고, 종거값을 구하려고 하니 음... 예제를 보면 공액보법을 통해서 종거값을 구하던데, 공액보를 잘 모르기에 무식하게 에너지법으로 풀어보았습니다. 머리가 나쁘니 몸이 고생을 하네요..
토목구조기술사 94회 4교시 4번(94-4-4) - 트러스 구조물의 변위 구하기, 에너지법 & 매트릭스법 왼쪽부터 부재 1,2,3으로 가정할 때 2번 부재의 부재력을 부정정력으로 가정하고, 에너지법으로 풀었는데 답이 좀 이상하게 나오는거 같은 느낌이기도 해서 매트릭스법으로 다시 풀어봤더니 답이 서로 다르게 나옵니다... 다시 한번 검토해 봐도 어디가 틀렸는지 찾지 못하겠으니... 흠. 댓글로 답을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토목구조기술사 91회 4교시 6번(91-4-6) - 중앙지점이 이격 돼 있는 부정정보의 모멘트 산정 B지점에서 10mm 처짐이 발생하기 전에는 1경간 단순보의 구조계 형태이며, B지점에서 처짐이 10mm 이상 발생 시 2경간 연속보 구조계로 변화하는 것으로 보고 풀이하였습니다. 모멘트 값 산정 등은 에너지법을 이용하여 풀이하였습니다. 제 풀이가 맞는지는 저도 확실치 않으니, 댓글로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