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계 관련 자료

(11)
하이드로 크레인 200ton 제원 및 캐드 삽도 ※ 하이드로 크레인 200톤 제원1. Outrigger : 8.6x9.9m Counter Weight : 60ton 안전율 : 75%붐14.1*14.119.2*19.223.628.733.138.242.647.752.154.5붐작업반경작업반경3200**160151151        33.5175**143141140        3.54157131133129113       4513011211811010287      561089710795927967     679285928483736353    78807679747367585042   897068706666625447.540.533  9106361626059575044.538.53225.4 1012  5049.5494944.5403529.724..
PHC 말뚝 두부보강 상세도 PHC 말뚝 관련 두부보강 상세도, 말뚝 이음 상세도, 말뚝 두부정리 순서도를 표현한 도면입니다.두부보강 관련 수량은 D500mm 기준 입니다. ※ 말뚝의 시공오차 및 보강1. 강관말뚝은 말뚝상단 절단면을 기준으로 말뚝직경의 1/4(또는 100mm중 큰 것)이내 이어야 한다.2. PHC말뚝은 설계위치에서 150mm초과하여 벗어났을 때는 구조검토를 하여 추가항타 또는 기초의 보강을 고려한다. 독립기초, 줄기초, 매트기초의 외곽말뚝이 외측으로 75~15mm 벗어난 경우에는 말뚝중심선에서 벗어난 만큼 기초를 확대하고 철근을 1.5배 보강하여 배근하며, 내측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철근만 1.5배 보강하여 배근한다.3. 강관말뚝은 항타 완료 후 각도기 등으로 계측하여 수직에 대한 기울기가 말뚝길이의 1/75 이상일..
유효좌굴길이계수(KDS 14 31 15) KDS 14 31 15 강구조 골조의 안정성 설계기준(하중저항계수설계법)4.3.4 유효길이계수, K(1) 회전과 병진운동에 대한 기둥의 양단 지지조건을 적절히 고려하기 위하여 유효길이 계수 K를 기둥의 실제 길이에 곱해야 한다. 이상화된 구속 조건이 실제 구속조건을 완전히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표 4.3-1에서 주어진 바와 같이 이상화된 구속 조건에 대한 의 이론치보다 큰 값을 설계 시의  값으로 사용한다.회전과 병진운동에 대한 기둥의 양단 지지조건을 적절히 고려하기 위하여 유효길이 계수 K를 기둥의 실제 길이에 곱해야 한다. 이상화된 구속 조건이 실제 구속조건을 완전히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표 4.3-1에서 주어진 바와 같이 이상화된 구속 조건에 대한 의 이론치보다 큰 값을 설계 시의  값으로 ..
인천 서구 아파트 건설공사 중 슬래브 붕괴사고 사고조사 보고서 검단신도시 아파트의 슬래브 붕괴사고에 대한 사고조사 보고서입니다.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관련 자료 :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현장 붕괴사고 - 나무위키 (namu.wiki)
광주 해체공사 붕괴사고 중앙건축물사고조사위원회 조사보고서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철거건물 붕괴 사고에 관한 사고조사 보고서입니다.이런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관련 내용 :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철거건물 붕괴 사고 - 나무위키 (namu.wiki)
설계안전성검토보고서(DFS) 위험요소 프로파일(Hazrd Profile) 2022년, 2023년의 설계안전성검토 위험요소 프로파일(Hazrd Profile)입니다.자료출처 : 국토안전관리원 2022년 설계안전성 검토 업무를 통하여 선정된 위험요소를 실시설계 단계 부터 건설공사 참여자의 위험요소 프로파일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2022년 제출된 설계안전 검토보고서 위험요소 중 1,200개를 선정하여 붙임과 같이 제공합니다.'23년 상반기 건설사고 초기현장조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위험요소프로파일을 붙임과 같이 게시합니다.- 건축 15건, 토목 10건'23년 하반기 건설사고 초기현장조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위험요소프로파일을 붙임과 같이 게시합니다.- 건축 15건, 토목 10건
몰탈, 그라우팅 배합비(자재 수량 환산) 설계를 하다보면 몰탈이나 그라우팅 수량을 산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교량받침 블럭, 타일붙임 시 몰탈 수량이 필요하고,말뚝의 선단고정액, 주면고정액, 어스앵커 등에는 그라우팅이 필요합니다.이 수량들은 최종적으로 시멘트, 모래 등의 자재로 환산을 해주어야 하는데,그 때는 배합비를 이용해 산출합니다. 배합비 계산 시 비중과 단위용적중량이 필요한데,구분비중단위용적중량(ton/㎥)시멘트3.151.5모래2.61.6위의 값들을 사용합니다. 위의 값의 출처는 저도 잘;;이 값들로 계산을 하니 그동안 써왔던 환산값이 딱 나오더라고요.ㅎㅎ 1. 그라우팅구  분그라우팅( ㎥ )시멘트(ton/㎥)비고(W/C비)선단고정액1.01.09060%주면고정액1.00.98370%어스앵커1.01.40039.7%                ..
구조물(교량 형식별, 터널) 단위 공사비 도로업무편람(국토교통부, 2022) ○ 고속국도 건설(교량, 4차로 기준) 교량형식 Rahmen 계열 PSC 거더 계열 Preflex 계열 강합성 계열 일반형 (≤35m) 개량형 (3550m) m2당 3,471 2,259 2,221 2,326 2,557 3,238 단위 : 천원, 제잡비 포함 ○ 고속국도 건설(터널, NATM공법) 구 분 2차로 3차로 m당 15,560 20,218 단위 : 천원, 제잡비 포함 ○ 일반국도건설(공종별, 제잡비 포함) 구 분 차로수 토공 및 기타 교량 터널 국도신설 4 184억원/km 601억원/km 326억원/km 국도확장 2→4 109억원/km 520억원/km 235억원/km 국도개량 2 52억원/km 347억원/km 183억원/km 4차선 국도 교량의 폭을 21m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