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구조기술사

(17)
토목구조기술사 91회 2교시 5번(91-2-5) - 스프링으로 지지된 보 처음에는 스프링으로 지지된 보의 처짐각을 구하는 문제인가라고 생각을 했다가, 단순히 생각해보니 스프링의 변형값이 동일하면 되는거 아닌가라고 결론지었습니다. 풀이가 맞는지는 저도 확실치 않으니, 댓글로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에너지법의 변형에너지 정리 축력 + 휨 + 전단 + 비틀림 : 보의 상하부 온도차 : 축방향 온도 변화 : P · δ = P · (α·ΔT·L ) (ΔT 의 부호는 힘의 방향과 동일하면 +, 반대이면 -) 지점 침하 : -R·Δ (Δ의 부호는 힘의 방향과 동일하면 +, 반대이면 -) 지점 회전 : -M·Θ (Θ의 부호는 힘의 방향과 동일하면 +, 반대이면 -) 스프링 : F² / 2k
TI-nspire 계산기 단축키(구조기술사 문제풀이용) doc + 4 + 1 : 새 문제 doc + 4 + 2 : 새 페이지 menu + 1 + 4 : 변수 지우기 menu + 1 + 5 : 계산 기록 지우기 menu + 3 + 1 : solve Shift + + : 적분 Shift + - : 미분 ctrl + [] : 행렬 만들기 행렬에서 엔터 : 행 늘리기 행렬에서 shift + 엔터 : 열 늘리기 menu + 7 + 1 + 1 : 매트릭스 생성 menu + 7 + 1 + 2 : 0 매트릭스 생성 menu + 7 + 2 : 전치행렬
해법중심 구조역학 예제 9.20 오답 케이블로 지지된 캔틸레버보의 부재력과 반력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에너지법을 풀이했을 때 답이 달라서 풀이를 비교해 봤더니 책의 문제 풀이가 잘못된거 같습니다. 단위 환산을 N, mm 단위 기준에 맞춰 한거 같은데 부재력을 적분해서 에너지를 구할 때 부재길이를 m 단위로 적용했습니다. EI값도 잘못 되었습니다. 제가 한 풀이로 타이의 인장력은 66.2kN이 나왔습니다.
부정정 구조물 풀이 (에너지법 적용) 부정정 구조물을 에너지법으로 풀기 위해선 부정정차수를 먼저 파악하고, 정정구조물로 치환하는게 핵심인거 같습니다. 위 문제는 오른쪽부터 기준으로 부재력 M1, M2를 만들면 2가지 모두 동일한 식이 나옵니다. 답은 달라야 하는데 풀이과정이 똑같아서 무언가 이상하다고 생각을 했는데 사실은 가정이 틀렸습니다. 왼쪽 그림은 1차 부정정이라 하나의 반력만 가상하중으로 치환을 해야하고, 오른쪽 그림은 2차 부정정이라 2개의 반력을 가상하중으로 치환해야 합니다. 위의 풀이는 B와 C의 반력을 모두 가상하중으로 치환했기에 오른쪽 그림에 대한 풀이의 답이 나오게 된것 입니다.
토목구조기술사 131회 2교시 4번(131-2-4) 절점 B에 발생하는 반력을 R로 가정, 에너지법으로 풀이하였습니다.
토목구조기술사 129회 4교시 1번 - 연속보에서 지점침하 발생한 경우의 SFD, BMD 구하기 에너지법으로 풀어보니 어찌어찌 풀어지기는 하는데 복잡합니다. 다른 풀이방법은 간단하게 풀리는거 같은데... 해설을 봐도 잘 모르겠습니다. 역시, 저렇게 무식하게 푸는게 아니라 에너지법으로 부정정 해석을 하는 방법이 있었네요.ㅎㅎ 유투브로 강의를 해주시는 분들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토목구조기술사 129회 2교시 6번(129-2-6) 에너지법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는 중이라 에너지법으로 풀어보았습니다. 에너지법으로 하니 시간이 꽤나 오래 걸리는거 같습니다. 풀이를 다시 들여다보니, A점에서 B점을 1구간, B점에서 Q가 재하되는 가상의 위치까지를 2구간으로 놓고 풀었는데, 저 두 구간을 합쳐도 상관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흰지가 있는 곳에서 구간을 나눠야 하는지 한번 풀어보아야 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