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가상자산(가상화폐) 빙하기로 불리는 '크립토 윈터'의 해였다. 특히 테라폼랩스, FTX 등 유명 기업들이 몰락하고, 비트코인 등 주요 가상자산들이 폭락하면서 냉각은 점차 심화했다. 최근에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 기조에 이어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까지 확산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에 대한 예측은 더욱 어려워진 상태다. 이에 내년 비트코인 가격을 둘러싼 국내외 전문가들의 전망도 극명하게 엇갈렸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외 가상자산 전문가들은 내년 비트코인 가격 전망에 대해 1200만원부터 3억까지 다양하게 예측했다. 특히 국내 가상자산 전문가들은 가상자산 기술 본연의 가치를 토대로 비트코인이 반등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대표적인 비트코인 강세론자로 꼽히는 팀 드레이퍼는 지난 2018년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비트코인이 2022년 말까지 25만달러(약 3억1912만원)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하지만 그는 이달 초 해당 예측에 대해 "FTX 사태로 당분간 약세장이 지속될 것"이라며 "25만달러 도달은 2023년 6월이 될 것"이라고 수정했다. 드레이퍼의 예측이 실현되려면 비트코인은 6개월 안에 현재 가격인 1만6000달러(약 2042만원)에서 약 1400% 상승해야 한다.
유동성 위기 및 금리 인상 기조 등으로 비트코인의 하락세를 점치는 전문가들도 많았다. 니콜라오스 파니기르초글루 JP모간 전략가는 비트코인 목표가로 1만3000달러(약 1659만원)를 제시하며 약세론을 주장했다. 그는 지난달 보고서를 통해 "FTX 사태로 발생한 유동성 위기가 '가상자산 디레버리징의 새로운 국면'을 초래해 하방 압력을 가할 것"이라며 "비트코인 가격이 향후 몇 주 안에 1만3000달러까지 폭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간만에 보는 비트코인 관련 기사입니다.
22년 12월 27일 현재 비트코인 시세는 2,146만원입니다.
작년 11월에 8807만원까지 상승을 했었는데
코인은 정말 변동이 심한거 같습니다.
국내전문가들은 가상자산 기술 확장이 반등을 이끌것이라고 예측을 했는데
과연 결과는 어떨지 궁금합니다.
31% 내년으로 이월됐으나
올해 대비 물량 38% 감소
재개발·재건축 물량 다수
26일 부동산R114가 연합뉴스로 공동으로 내년 민영아파트(민간분양+민간임대) 분양계획을 조사한 결과 전국 303개 사업장에서 총 25만8003가구가 분양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계획물량 기준으로 2014년(20만5327가구) 이후 가장 적고, 올해(41만6142가구) 대비 38% 감소한 수준이다.
올해 분양계획 중 31%는 내년으로 이월됐으며 내년 분양 물량은 3월(3만4392가구), 2월(2만5620가구)에 전체물량의 약 28%가 계획돼있다. 9월은 보통 가을 성수기로 꼽히지만 추석이 끼어 있어 예정물량이 7257가구로 많지 않다. 분기별로는 ▷1분기 8만2001가구 ▷2분기 5만5577가구 ▷3분기 3만9270가구 ▷4분기 3만6747가구 ▷시점미정 4만4408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내년 권역별 분양 예정물량은 과반이 지방이다. 수도권 11만6682가구(45.2%), 지방 14만1321가구(54.8%)로 예정됐다. 수도권에서는 경기가 7만521가구로 가장 많고, 서울 2만7781가구, 인천 1만8380가구 순으로 조사됐다.지방에서는 부산이 2만7,661가구로 가장 많은 분양예정 물량이 조사됐다. ▷대구 1만5,435가구 ▷경남 1만4656가구 ▷충남 1만4442가구 ▷광주 1만2937가구 ▷충북 1만2771가구 ▷대전 1만686가구 순으로 집계됐다.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택 대기수요가 적은 데다 미분양이 적체되는 지역이 많아, 상당수의 사업지에서 공급 시기를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부동산 수요가 없으니 공급도 줄어든 것이고,수요가 없으면 가격도 하락하는게 시장경제 원리인데분양가는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분양가 위주로 한번 찾아봐야 겠습니다!
'경제신문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MC 베이비스텝 속도 조절, 나스닥 2%↑마감 (0) | 2023.02.02 |
---|---|
신문 읽기 - 2023년 1월 2일(2023년 새해부터 달라지는 것들) (0) | 2023.01.02 |
경제신문 읽기 - 2022년 12월 23일 (0) | 2022.12.23 |
경제신문 읽기 - 2022년 12월 21일 (0) | 2022.12.21 |
경제신문 읽기 - 2022년 12월 20일 (0) | 2022.12.20 |